한국의 최성원(왼쪽)과 베트남의 쩐득민(오른쪽)이 프로당구 개막전 64강에서 진검승부를 벌인다.  사진=고양/이용휘 
한국의 최성원(왼쪽)과 베트남의 쩐득민(오른쪽)이 프로당구 개막전 64강에서 진검승부를 벌인다.  사진=고양/이용휘 

[빌리어즈앤스포츠=김도하 기자] 프로당구(PBA) 투어 시즌 개막전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자존심이 걸린 한판 승부가 벌어진다.

3쿠션 세계챔피언과 프로당구 투어 챔피언에 오른 최성원(휴온스)과 아마추어 시절 당구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던 베트남의 쩐득민(하림)이 격돌한다.

19일 오후 6시에 열리는 '우리금융캐피탈 PBA-LPBA 챔피언십 2025' 남자부 64강전에서 최성원과 쩐득민이 32강 진출을 다툰다.

최성원은 전날 열린 128강전에서 정성윤을 세트스코어 3-1로 꺾고 시즌 첫 경기를 무난하게 치렀다. 하이런 10점을 포함해 애버리지 1.788을 기록하며 압승을 거뒀다.

1세트에 최성원은 7:7 동점에서 8이닝에 3-2-3 연속타를 터트려 10이닝 만에 15:7로 승리했고, 2세트는 초반 3이닝에 정성윤의 하이런 8점타를 맞고 2:9로 끌려가다가 5이닝부터 3-2-5 연속타로 14:9로 역전하며 승리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막판에 정성윤이 뱅크 샷을 두 차례 성공시키면서 8이닝에 4점, 9이닝에 2점을 득점해 14:15로 아깝게 역전패를 당했따.

최성원은 3세트 4이닝부터 1-6-3 연속타로 10:3으로 앞서 승기를 잡은 뒤 8이닝 3득점 후 11이닝에 남은 2점을 마무리하며 15:9로 승리를 거두고 세트스코어 2-1로 앞섰다.

이어 4세트에서 최성원은 초구 1점과 2이닝 4점, 그리고 3이닝에 뱅크 샷 두 방 등 끝내기 10점타를 터트리면서 15:0으로 승부를 마무리하고 64강 진출을 확정했다.

첫 경기를 애버리지 1.788로 승리한 최성원은 두 번째 64강전에서 쩐득민과 32강 진출을 다툰다.
첫 경기를 애버리지 1.788로 승리한 최성원은 두 번째 64강전에서 쩐득민과 32강 진출을 다툰다.
쩐득민은 복귀 두 번째 경기에서 최성원을 만나면서 최대 고비를 맞았다.
쩐득민은 복귀 두 번째 경기에서 최성원을 만나면서 최대 고비를 맞았다.

3년 5개월여 만에 PBA 투어에 복귀한 쩐득민은 128강에서 주시윤을 3-0으로 제압하며 64강에 진출했다.

쩐득민은 21-22시즌에 데뷔해 개막전부터 5차 투어까지 5차례 투어에 출전한 바 있다. 당시 최고 성적은 5차 투어 'NH농협카드 챔피언십' 32강.

이후 베트남으로 돌아갔던 쩐득민은 2024년 5월에 세계캐롬연맹(UMB) 주최로 베트남에서 열린 '호찌민 3쿠션 당구월드컵'에서 우승까지 차지하며 전례 없는 무명 돌풍을 일으켰다.

그러다가 25-26시즌에 우선등록선수로 선발돼 PBA 투어에 복귀, 이번 개막전에 출전했다.

복귀전에서 쩐득민은 1세트를 9이닝 만에 15:12, 2세트도 16이닝 만에 15:12로 승리를 거두며 세트스코어 2-0으로 앞서가다가 3세트에 15:10(15이닝) 승리를 거두고 64강에 진출했다.

쩐득민은 복귀 두 번째 경기에서 강적 최성원을 만나면서 한 차례 고비를 맞았다. 아직 PBA 투어 적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PBA 최강자 중 한 명을 만나면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64강에서 김현석1과 대결하는 김영원(하림).
64강에서 김현석1과 대결하는 김영원(하림).
부라크 하샤시(하이원리조트)는 64강전에서 우태하와 맞붙는다.
부라크 하샤시(하이원리조트)는 64강전에서 우태하와 맞붙는다.

이날 64강전에서는 10대 돌풍의 주역인 한국의 김영원(하림)과 튀르키예의 부라크 하샤시(하이원리조트)가 32강에 도전한다.

김영원은 밤 11시 경기에서 '해설위원 겸 선수' 김현석1과 대결하고, 하샤시는 이보다 먼저 저녁 8시 30분에 우태하와 맞붙는다.

두 선수는 이번 64강 관문을 통과한 뒤에도 계속 난전이 예상된다. 김영원은 32강에 오를 경우 김병호(하나카드)-김남수의 64강전 승자와 대결하고, 하샤시는 다니엘 산체스(웰컴저축은행)-이해동 경기 승자와 맞붙는다.

김영원은 16강에 올라가면 최성원, 쩐득민, 아드난 윅셀(튀르키예), 한지승 중 한 명과 만난다. 하샤시는 최원준1(에스와이)-박기호, 오태준(크라운해태)-최명진 경기 승자와 16강전을 치르게 된다.

64강전에서는 다비드 마르티네스(크라운해태)와 로빈슨 모랄레스(휴온스)의 진검승부도 벌어진다.

무라트 나지 초클루(하나카드)와 사바시 불루트의 튀르키예 선수간 대결도 벌어지고, 박인수와 마민껌(NH농협카드), 신남호 대 응우옌득아인찌엔(크라운해태), 김영섭 대 응우옌프엉린(하림), 신대권 대 응우옌꾸옥응우옌(하나카드)의 한국 대 베트남의 승부도 예정돼 있다.

강동궁(SK렌터카)은 전인혁과 64강에서 맞붙고 이충복(하이원리조트)은 이상대(휴온스)와 32강 진출을 다툰다.

그밖에 에디 레펀스(SK렌터카) 대 구민수, 모리 유스케(에스와이) 대 김홍민, 륏피 체네트(하이원리조트) 대 윤석현 등의 승부도 벌어진다.


(사진=고양/이용휘 기자) 

저작권자 © 빌리어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