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과 함께 준우승 시상식 기념시진을 찍던 김영원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맨 오른쪽은 우리금융캐피탈 정연기 대표.  사진=고양/이용휘 기자
부모님과 함께 준우승 시상식 기념시진을 찍던 김영원이 눈물을 흘리고 있다. 맨 오른쪽은 우리금융캐피탈 정연기 대표.  사진=고양/이용휘 기자

[빌리어즈앤스포츠=김민영 기자] 16세, PBA 최연소 프로 당구선수인 김영원의 프로당구 시즌 개막전 목표는 소박했다. 소박이라는 표현보다 겸손이라는 표현이 더 맞겠다.

프로당구 시즌 개막을 앞두고 열린 '2024-25시즌 PBA-LPBA 투어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김영원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이번 개막전 목표는 128강 통과다"라고 밝힌 바 있다.

앞서 PBA 3부와 2부 투어에서 활동할 당시에도 와일드카드로 1부 투어 출전한 경험이 있는 김영원은 두 번째 출전한 1부 투어 128강에서 조재호(NH농협카드)에게 세트스코어 2-2로 대항하며 승부치기까지 몰아붙인 장본인이다.

특히 지난 시즌 휴온스 챔피언십에서는 128강에서 에디 레펀스(SK렌터카)를 꺾은 후 32강까지 올라 가능성을 보였다.

PBA 최연소 프로 당구선수 김영원이 강동궁과 개막전 결승에서 우승 트로피를 놓고 대결을 벌였다.
PBA 최연소 프로 당구선수 김영원이 강동궁과 개막전 결승에서 우승 트로피를 놓고 대결을 벌였다.
결승전에서 신중하게 경기 중인 김영원.
결승전에서 신중하게 경기 중인 김영원.

자력으로 1부 투어 승격을 이룬 김영원은 시즌 개막전이자 자신의 정식 프로당구 데뷔 무대에서 결승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

김영원은 비록 강동궁과의 결승전에서 세트스코어 2-4로 패했으나 데뷔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김영원은 결승전 경기가 끝나자 감정에 북받친 듯 얼굴을 두 손에 묻고 오열했다.

김영원은 경기 후 눈물을 흘린 이유를 묻자 "6세트에서 강동궁 선수가 2점 남았을 때 갑자기 내가 지금까지 노력해 왔던 것들이 떠오르면서 갑자기 감정이 벅차올랐다"고 말했다.

이어 "그동안 매일 아침 8시부터 캄캄한 당구장에서 연습 테이블 한 대만 불을 켜 놓고 나 혼자 외로운 훈련을 해왔다. 그런 외로운 훈련 과정들이 갑자기 생각났다"며 "져서 억울해서 운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김영원은 결승전 경기 후 무대 뒤에서 남몰래 눈물을 흘렸다.
김영원은 결승전 경기 후 무대 뒤에서 남몰래 눈물을 흘렸다.

김영원은 결승전 경기를 치른 소감에 대해서는 "일단 너무 좋다. 나에게 정말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결승전에서의 경험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게 아니니까"라고 전했다.

128강을 목표로 했으나 결승까지 진출한 김영원은 "점점 올라갈수록 '내가 지금 여기까지 올라왔다고?' 현실감이 없고, 의아한 생각이 많이 들었다. 사실 이제 진짜 맞나 싶어서 잠도 잘 안 왔다"며 웃음 지었다.

이어 "결승전을 앞두고 아빠가 "여기까지 올라온 것만 해도 잘한 거다, 주눅 든 모습만 보여주지 말라"고 하셨는데, 아직 경험 부족인 것 같다. 1부 결승전 경험이 없다 보니 결승전에서 멘탈이 많이 흔들렸다"고 밝혔다.

밝은 미소로 공식 기자회견에 임한 김영원.
밝은 미소로 공식 기자회견에 임한 김영원.

김영원은 "오늘의 패배가 기억에 계속 남을 것 같다. 사실 강동궁 선수와 결승에서 만나면 쉽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오히려 다비드 마르티네스가 결승에 왔다면, 더 편하게 경기를 풀어나갈 수 있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영원은 "원래 내 장점이 기본 공을 실수 없이 치는 스타일인데, 약간 까다로운 공을 받으면 무너지는 경향이 있다. 이제는 까다로운 공에서도 득점률을 높이는 훈련을 해야 할 것 같다"며, "한 번 경험 해봤으니 다음에는 우승을 목표로 1부 투어 도전을 이어가겠다"라고 계속되는 도전을 기약했다.
 

(사진=고양/이용휘 기자)

저작권자 © 빌리어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