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있었던 문화체육관광부의 강도 높은 특정감사 결과, 어떤 단체는 회장과 임원 모두 강제 해임되었고, 임원과 직원들의 비리가 드러나 형사고발까지 되었다. 수사 결과에 따라 체육계에 미치는 파장이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올해부터 체육계는 언론과 정부의 본격적인 감시를 당하게 될 것이다.
당구 관련 단체라고 예외일 수 없다. 지난 특정감사에서 당구는 사소한 지적 사항 외에는 크게 감사에 적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한당구연맹과 국민생활체육전국당구연합회, 대한장애인당구협회, 각 시도체육회 소속 당구 관련 단체들은 이번 감사 결과에 안주하지 말고, 자구적 쇄신에 들어가야 한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관계자 중 알만 한 사람은 알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2월 24일 수원시장애인체육회는 염태영(수원시장) 수원시장애인체육회장을 비롯한 이사와 대의원이 참석한 2014년 정기이사회 및 대의원총회에서 수원시장애인당구협회를 관리단체로 지정했다.
지난해 12월 13일 수원 연무동 모 당구클럽에서 열린‘2013 수원시장애인당구협회장배 수도권 장애인당구대회’중에 운영자금 일부를 규정에 맞지 않게 사용한 점이 적발되었기 때문이다.
심판과 운영요원 중 참석하지 않은 이들 통장으로 일당을 지급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날 지급한 일당은 총 144만 원으로 그 중 일부가 잘못 지급되었다고 하니, 얼마나 적은 금액일지는 예상이 간다.
그러나 수원시장애인당구협회는 관리단체로 지정됨과 동시에 관할 경찰서에 관계자들이 고발 조치될 예정이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단체는 1원이라도 규정에 어긋나게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다.
이번 수원시장애인당구협회의 관리단체 지정과 체육계 단체의 처벌이 당구계에도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