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이 항목의 글은, 조동성 씨의 <내가 본 당구사>(1980년 발행)에서 “우리나라의 당구사는 1909년 황실에서 시작”이라는 내용에 근거하여 한국 당구의 기원을 확정한 기존의 역사적 사실을 다시 변개(變改)하는 것이므로 참으로 조심스럽다.

그러나 조동성 씨가 <내가 본 당구사>를 집필할 당시 이후로 당구에 관한 역사적 고증자료들이 속속 발굴되어 당구의 기원과 역사를 다시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필자로서는 한국 당구의 올바른 역사를 정립하여 현 당구계와 후대에 정확히 전달해야 한다는 입장과 책임감에서 이 글을 역사적 자료에 의거해 객관적으로 쓰게 됨을 밝혀 둔다. 아울러 한국의 당구 기원도 1909년이 아닌 1884년으로 25년 앞당겨져 올해로 130년이 된다.


 

자료 1

일본 '닛쇼테이'판매부에서 <매일신보>에 당구대 판매 광고

1912년 6월 2일자 <매일신보>에 실린 일본 당구대 제조업체 닛쇼데이(日勝亭)의 광고이다. 순종과 고종이 애용한 당구대도 이 회사 제품이다. 부속 일체까지 판매한다고 하였으므로 이 무렵에 당구대 수요가 상당히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1912년 6월 2일자 <매일신보>에는 처음으로 당구대 판매 광고가 등장한다. 신문 광고를 내서 당구대 판매를 할 필요성이 생길 만큼 시중에 상당한 수요(需要)가 생겼음을 뜻한다. 일본의 유명 당구대 제조회사로 오늘날까지 그 이름을 이어오고 있는 ‘닛쇼테이(日勝亭)’ 판매부에서 옥돌대와 부속 일체를 판매한다는 내용이다. 이 광고가 실리기 3개월 전에 이왕전하, 즉 퇴위한 순종임금의 건강 유지와 여가생활을 위해 창덕궁 인정전 동행각(東行閣)에 옥돌대 2대를 이 회사에서 구입하여 설치한 바 있다. (자료 1)

그리고 1913년 8월에는 고종이 거처하는 덕수궁 덕홍전에도‘닛쇼테이’당구대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초창기 한국에 수입되어 접객업소와 외교구락부 등에 시설된 당구대가 모두 일본의 ‘닛쇼테이’ 제품인지는 알 길이 없다. 여하튼 신문에 광고를 게재하여 당구대를 판매할 정도의 분위기라면 당구가 상당히 보편화되어 가고 있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자료 2

1912년부터 1916년까지의 당구에 관한 기록들

1916년 2월 25일자 <매일신보>에 게재된 당구교본 <당구지남>의 광고이다. 당구교본 판매를 신문에 광고할 만큼 당구 보급은 일반화되었다.

일본사람 후쿠자키 키이치(福﨑毅一)가 1912년에 발간한 <경인통람(京仁通覽)>에는 영등포역 앞 ‘하다마야’란 곳의 광고가 나오는데, ‘여관 겸 여객대합실’이라는 문장과 함께 ‘옥돌 대궁(大弓) 유희부’라는 문구가 있어, 이곳에도 당구대가 설치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라남도 광주군에서는 1912년에 당구대가 설치되어 있었다는 것을 기록으로 볼 수 있다. 전라남도 광주군 광주면이 ‘면사무소 신축기념’으로 <광주의 금석(光州の今昔)>(1925년 12월 발행)이라는 책자를 발행하였는데, 광주면 내의 현황 소개 중 ‘오락기관’ 항목에서 옥돌구락부를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고 있다.

이 표를 보면 광주에도 1912년에 이미 1곳, 1916년에 2곳, 1921년에 2곳, 1925년 4곳의 옥돌구락부가 생긴 것으로 표시하였다. 비고란에는 식산은행 행우구락부와 조선철도사원집회소의 것이 각 하나씩 포함된다고 적었다.

1914년에 영업을 시작한 조선호텔은 설계 당시부터 1층 좌측 공간에 당구대를 겸비한 바(Bar and Billiard Room)를 따로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1902년에 개업을 해서 1914년까지 영업을 했던 개화기 최초의 손탁호텔-이 호텔은 프랑스 태생의 독일 여인 앙트와네트 손탁(Antoinette Sontag, 1854~1925)이 고종으로부터 서울 정동 땅을 하사받아 최신 시설로 건축하였다-도 신축 당시부터 당구장을 갖추고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기록상으로는 볼 수 없다.

그러나 1914년에 발행된 <테리의 일본제국 여행안내>라는 책자 말미에 손탁호텔의 광고가 수록되어 있는 바 별관에 바(Bar)와 대형 당구장(Billiard-room)이 설치되어 있다고 소개하였다.

1916년 2월 25일자 <매일신보>에는 <당구지남(撞球指南)>이라는 당구교본 책 광고가 실렸다. ‘당구계의 태두(泰斗) 타마노 이치쿠마(玉乃一熊) 저’, ‘국판 상제(上製) 300여 쪽 크로스 미장(美裝) 박스들이’라고 하고 경성일보사 대리부가 발행소로 표시되어 있다. 저자는 1893년 외국에서 보크라인 경기를 배워 귀국, 일본에 당구를 보급시킨 해외교포다. 이 책의 내용 구성에 관해서는 책이 전래되지 않아 알 수가 없다.

광고 문안 중에는 초창기 일본 당구의 거목이었던 야마다(山田浩二) 선수가 서문을 썼고 저자와의 관계를 설명하였다(야마다는 1910년에 독일에 당구 유학을 하였고, 1913년에는 미국에 초청받아 보크라인식 선수권대회에 출전하여 3위에 입상한 바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에 당구교본이 신문지상에 광고로 등장할 만큼 세상은 이미 당구를 일상의 유희문화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점이다.

 

 

<빌리어즈> 김기제 발행인

 

저작권자 © 빌리어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